주요연구성과
TOP전체 121건 페이지 3/13 RSS
-
표준연, 세계 측정의 날 기념행사 개최- ‘ 측정과 함께 여는 지속가능한 미래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원장 이호성 ) 은 20 일 ( 월 ), 세계 측정의 날 (WMD, World Metrology Day) 을 맞아 원내 기념행사를 개최 했다 . ▲ 2024년 세계 측정의 날 포스터 세계 측정의 날은..작성일자 2024-05-20 조회수 2918
-
지구에 없던 새로운 물질상, 왜 생길까? 실험으로 증명했다.- 표준연 , 물질의 결정화 과정 정밀 관측해 ‘ 분자 구조 대칭성 변화 ’ 가 요인임을 규명 - - 결정화 과정 제어해 원하는 물질 만들 수 있어 … 신소재 개발 새 이정표 - # 오는 27 일 우주항공청 개청을 앞두고 신 ( 新 ) 우주 시대를 맞이하기 위한..작성일자 2024-05-16 조회수 3247
-
표준연, 6G 안테나 측정 장비 국산화 성공- 이동형으로 활용성 높이고 왜곡 없는 비금속 센서로 6G 안테나 성능 측정 - - 국내 기업에 기술이전 완료 , 6G 상용화 속도 낸다 - # 2019 년 4 월 ,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로 5G 이동통신 서비스를 야심 차게 시작했다 . 3.5 GHz 대역의 5G 는 상용화되었지..작성일자 2024-04-08 조회수 3906
-
버려지는 미세 진동, 모으고 키워 전기로 쓴다- 표준연 , 좁은 영역에 진동을 가두어 고증폭하는 메타물질 개발 - - 버려지는 진동을 모아 전기로 만드는 ‘ 에너지 하베스팅 ’ 상용화 앞당긴다 - # 에너지 하베스팅은 버려지는 에너지를 다시 ‘ 수확 (harvest)’ 하여 전기로 만드는 친환경 기술이다..작성일자 2024-03-27 조회수 4622
-
표준연, MRI?CT 지방간 진단 ‘기준’ 제시- 체내 지방 측정 정확성 높일 의료영상기기용 표준물질 세계 최초 개발 - - 의료영상기기 진단 신뢰성 향상 , 신약 개발 위한 다기관 임상시험 활용 기대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원장 이호성 ) 이 MRI 와 CT 촬영을 통한 체내 지방 측정의 정확성을 높일 표준물질을 세계..작성일자 2024-03-14 조회수 3739
-
나노물질 인체 독성, ‘인공장기’ 오가노이드로 검증- 간 줄기세포 활용 , 나노물질 독성 정확히 평가할 오가노이드 배양법 최초 개발 - - 나노물질 나노의약품 안전성 평가에서 동물대체시험 도입 가속 전망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원장 이호성 ) 이 나노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독성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오가노..작성일자 2024-02-20 조회수 5828
-
표준연, 한미 양자기술 협력 국가대표로 나선다- 한미 첨단기술 협력 기조 발맞춰 양국 표준기관 간 양자 협력 체계 구축 - -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 (NIST) 와 양자컴퓨팅 정밀측정기술 협력 합의 - 지난해 8 월 캠프 데이비드에서 한미일 3 국 정상이 양자컴퓨팅 등 첨단기술 공동연구에 합의한 이래 구체적인 협력이 가시화되고..작성일자 2024-01-31 조회수 5348
-
표준연, ‘양자 얽힘’ 이용해 광학 측정 한계 돌파- 비검출광자 양자센서로 적외선 대역에서 고성능 저출력 정밀 광측정 성공 - - 3 차원 구조 비파괴측정 , 바이오 측정 , 가스 조성 분석 등 활용 기대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원장 이호성 ) 이 양자 얽힘 현상을 이용해 적외선 영역의 변화를 가시광에서 측정할 수..작성일자 2024-01-25 조회수 6355
-
표준연, 미래 국방 양자 원천기술 확보 나선다- 국방 양자 컴퓨팅 & 센싱 기술 특화연구센터 개소 , 244 억 사업 주관 - - 9 개 대학 참여로 고전 국방기술 극복할 국방양자기술 개발 , 전문인력 양성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원장 이호성 ) 은 23 일 ( 화 ) KRISS 대전 본원에서 미래 국방 양자 원천..작성일자 2024-01-24 조회수 5923
-
표준연, 상처 치유와 재생의 비밀 풀었다- 섬유화 현상 기전 규명 , 생체조직 미세환경 제어로 상처 치유 재생 촉진 입증 - - 첨단바이오 융합측정기술로 상처 치유 의약품 개발 , 섬유화 질환 암 연구 기여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원장 이호성 ) 이 생체조직의 미세환경을 제어해 상처 치유와 재생을..작성일자 2023-12-21 조회수 6536
QUICK MENU
QUICK MENU 원하시는 서비스를 클릭하세요!
등록된 퀵메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