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TOP전체 361건 페이지 4/37 RSS
-
시각·청각 넘어 촉각까지,‘초실감 메타버스’ 온다- 표준연 -ETRI-KAIST “ 촉감표준 융합연구단 ” 출범 , 6 년간 12 개 기관 참여 - - 촉감 표준화 및 관련 기기 소프트웨어 개발로 메타버스 시장 선도 기대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원장 이호성 ) 이 손으로 만져볼 수 있는 실감나는 메타버스 구현을 위..작성일자 2023-12-13 조회수 1443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16대 이호성 원장 취임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원장 이호성 ) 이 12 월 8 일 ( 금 ) 오전 11 시 행정동 대강당에서 원장 취임식을 개최했다 . KRISS 16 대 원장에 취임한 이호성 원장 ( 만 65 세 ) 은 취임사에서 “ 추격형 연구에서 선도형 연구로의 전환 ” 을 강조..작성일자 2023-12-08 조회수 2151
-
나노소재 융복합물성 원샷으로 측정한다- 표준연 , 나노소재 광 전기 복합물성 한번에 측정할 융합 나노현미경 개발 - - 나노 영역에서 이중층 그래핀 등 다양한 융복합 신소재 장비 연구 촉진 전망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원장 박현민 ) 이 나노 소재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성질을 한 번에 측정할 수 있..작성일자 2023-12-05 조회수 1167
-
“무단 굴착 멈춰” 지하매설 배관 파손 원천차단- 표준연 , 배관 파손 예방 시스템 개발 ... 무단 굴착 시각 위치 감지해 조기 경보 - - 실사용 배관 현장검증 기술이전 완료 , 수도 가스 열공급 등 배관 스마트 감시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원장 박현민 ) 이 무단 굴착 등으로 발생하는 배관 누출 사고를 사..작성일자 2023-11-22 조회수 1425
-
전세계 바이오 표준 전문가 한 자리에- 표준연 , 국제도량형위 물질량자문위원회 개최 ... 21 개국 125 명 참석 - - 첨단바이오 분야 선도적 지위 입증 , 미래 팬데믹 대응방안 모색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원장 박현민 ) 은 7 일 ( 화 ) 부터 10 일 ( 금 ) 까지 국제도량형위원회 (C..작성일자 2023-11-08 조회수 1060
-
‘1조분의 1’공기 중 미세한 유해가스 잡아낸다- 표준연 , 대기 중 이산화질소 세계 최고 감도로 모니터링할 신소재 센서 개발 - - 시간 비용 경제성 탁월 , 대기환경 개선연구 및 다양한 센서 촉매에 응용 가능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원장 박현민 ) 이 세계 최고 수준의 감도를 지닌 유해가스 센서를 개발했..작성일자 2023-10-05 조회수 1971
-
표준연, 커피콩 성분분석 인증표준물질 세계최초 개발- 커피콩 속 영양 유해성분 가장 정확히 측정할 인증표준물질 (CRM) 개발 - - 커피콩 품질관리 수준 향상 , 국제협력 통한 커피 기초연구 기여 전망 - # 커피는 한국인의 일상에서 떼어놓을 수 없는 음료다 . 성인 1 인당 커피소비량은 세계 평균치의 2.7 배에 달하며..작성일자 2023-09-21 조회수 2071
-
차세대 이차전지, 고수명 유기전극 개발로 실용화 가속- 표준연 - 포스텍 , 가볍고 유연한 유기물 기반 이차전지 전극소재 개발 - - 복합소재로 유기전극 수명 한계 극복 , 이차전지 수전해 센서 등 폭넓게 활용 가능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원장 박현민 ) 소재융합측정연구소 신호선 박사팀과 포항공과대학교 ..작성일자 2023-08-31 조회수 2773
-
산업공정 탄소배출 저감용 대체가스, 표준기술로 검증- 표준연 , 지구온난화지수 (GWP) 신뢰성 높일 복사효율 정밀측정기술 개발 - - 저탄소 산업용 대체가스의 기후기술 경쟁력 검증 발판 , 관련 산업 주도권 확보 기대 - # 국내 산업부문 탄소배출에는 산업공정에 쓰이는 온실가스가 한 몫을 차지한다 . 산업계에서는 2..작성일자 2023-08-10 조회수 1707
-
표준연, 6G 주도권 선점할 전자파 측정표준 확립- 6G 서브테라헤르츠 후보주파수 대역에서 임피던스 측정표준 개발 , 첫 국제 상호비교 - - 고가 외산 교정장비 국산화해 표준 보급 , 국내 6G 산업 발전의 초석 마련 - # 정부가 6G 연구에 총 1 조원을 투자해 2028 년 상용화를 달성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 6G ..작성일자 2023-07-25 조회수 1689
QUICK MENU
QUICK MENU 원하시는 서비스를 클릭하세요!
등록된 퀵메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