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TOP전체 361건 페이지 22/37 RSS
-
열 곳을 동시에 눌러도 모든 ‘힘’을 인식한다?여러 손가락의 힘을 동시에 인식하는 투명 3D 촉각센서 개발 - 스마트폰, 태블릿 PC의 새로운 입력장치 시대 이끌어 - “수많은 앱과 사진 속에서 원하는 것을 찾기 힘들다. 이런 과정을 간소화하기 위해 3D 터치를 개발했다.” - 애플 최고디자인책임자 조너선 아이브 - 직관성은 소비자가 구매..작성일자 2016-07-21 조회수 3516
-
‘2016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미래부 장관표창표준연 최만용 박사 ‘2016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미래부 장관표창 받아 - 60 m 거리 밖 얼굴 식별 가능 CCTV 개발 공로 인정받아 -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원장 권동일) 안전측정센터 최만용(59) 박사가 7월 7일(목) 오후 2시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열린 ‘2016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장관표창 ..작성일자 2016-07-11 조회수 2639
-
제13대 권동일 원장 취임식 개최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원장 권동일)은 6월 23일(목) 오후 2시부터 행정동 대강당에서 취임식을 개최하였다. KRISS 13대 원장에 취임한 권동일 원장은 취임사에서 “표준연은 그동안 국가과학기술 발전의 토대를 제공하고 우리나라 주력산업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설립..작성일자 2016-06-23 조회수 3502
-
3,000 km 떨어진 러시아의 산불이 한국에 초미세먼지를?표준연, 러시아 산불과 한국의 초미세먼지 상관관계 입증 국내 연구진이 한국에 초미세먼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원인 중 한 가지 원인을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밝혀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원장 직무대행 박현민) 대기환경표준센터 정진상 박사는 ‘러시아 산불’에서 배출된 ..작성일자 2016-06-21 조회수 4245
-
‘흑린’의 독특한 물리적 특성 세계 최초 규명흑린을 사용한 열전 반도체 소자 개발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이론적 현상 발견 ▲ 공동 제1저자인 최선재 석사와 김범규 박사, 교신 저자인 배명호 박사 (왼쪽부터) 온도가 다른 두 금속선을 접속하면 전기가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열전 현상’이라고 한다. 열전 현상을 이용하여 ..작성일자 2016-06-14 조회수 3848
-
항생제 분석용 닭고기 분말 인증표준물질 최초 개발항생제 사용한 닭고기의 수출입 규제에 과학적 근거 마련해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원장 직무대행 박현민) 유기분석표준센터 형석원 박사는 최상위측정법인 동위원소희석질량분석법을 사용하여 항생제 분석용 닭고기 분말 인증표준물질을 개발하였다. 이번에 개발된 인증표준물질은 국내 최초의 육류 인증표..작성일자 2016-05-26 조회수 4268
-
세계측정의날 (5/20) 맞아 다양한 행사 개최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원장 직무대행 박현민)은 5월 20일(금) 세계 측정의 날(WMD, World Metrology Day)을 맞아 KRISS 본원에서 기념식 및 심포지엄 등 다양한 행사를 갖는다. ○ 1875년 5월 20일, 세계 17개 나라는 국제 미터협약*을 체결하고 이 날을 세계 측정의 날로 선정하였다. KRISS와 같은 각..작성일자 2016-05-19 조회수 3107
-
세계최초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한 고(高)유전율 물질 정밀측정기술 개발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원장 직무대행 박현민) 전자파센터 홍영표 박사팀과 영국국립물리연구소(NPL)는 공동연구를 통해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한 ‘고(高)유전율 물질’의 정밀측정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다. 이 기술을 통해 높은 유전율을 가진 물질에 대한 정확한 측정 및 특성 파악이 가능해졌다. ..작성일자 2016-05-12 조회수 4309
-
350 °C 이하 저온에서 이차원 이황화몰리브덴 대면적 합성 기술 개발최신 IT 기기는 잘 휘어지면서도 성능에 변화가 없는 ‘웨어러블 기기’에 초점을 맞춰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기기는 고성능의 유연전자소자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유연전자소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이차원 소재를 합성해야 하는데 ‘고온’에서 합성할 경우,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플라스틱 기판이 녹아..작성일자 2016-05-03 조회수 3494
-
‘교류자기장’을 이용한 스커미온 이동 방법 제시KRISS, ‘교류자기장’을 이용한 스커미온 이동 방법 제시 - 차세대 저장장치 스핀트로닉스 메모리 개발에 영향 미칠 듯 - 정보읽기]" /> 대표적 기록 장치인 하드디스크드라이..작성일자 2016-04-25 조회수 3293
QUICK MENU
QUICK MENU 원하시는 서비스를 클릭하세요!
등록된 퀵메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