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TOP전체 361건 페이지 21/37 RSS
-
어떤 나노입자가 암세포를 뚫고 치료제를 전달할까?- 표준연, 나노입자의 세포 내 투과 실시간 확인 기술 개발 - - 암, 뇌졸중 등 중증 질환 치료 위한 나노입자 의약물 합성 前 나노입자 선별에 활용 - ..작성일자 2016-11-17 조회수 3882
-
‘뇌 건강나이’로 뇌경색의 악화 및 회복을 미리 안다- 한국인 허혈뇌지도 통해 뇌 건강나이 추정할 수 있어 - - 전국 5,035명의 뇌경색 환자의 빅데이터로 신뢰성 입증 - ..작성일자 2016-11-10 조회수 2655
-
공중부양장치로 지구상에 없는 새로운 물질상 발견- 우주행성탐사, 게놈지도, 신약 개발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 - - 극한 환경에서의 물성변화 측정 ..작성일자 2016-11-07 조회수 3358
-
치명적 단점을 역이용한 흑린 박막제조기술 세계최초 개발산소농도, 자외선 조절을 통해 흑린 박막을 자유자재로 식각 흑린 박막을 평가하는 품질관리 프로세스도 확립해 ..작성일자 2016-10-27 조회수 3752
-
표준연, 반도체 소재·부품 생태계 조성 공청회 개최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원장 직무대행 박상열 ) 은 10 월 28 일 ( 금 ) 오후 2 시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 반도체 소재· 부품 생태계 조성 공청회 ’ 를 개최한다 . 이번 행사는 KRISS 가 주관하고 한국반도체산업협회 (KSIA) , 한국 반도체연구조합 (COSAR) ,..작성일자 2016-10-27 조회수 1939
-
초고속 초고감도 실시간 질병진단 센서 개발진단에만 2시간 걸리던 급성심근경색을 실시간 진단 - 빠른 진단속도와 정확도 그리고 경제성을 동시에 갖춰 - ..작성일자 2016-10-06 조회수 2608
-
인공위성 카메라 색 교정 기술 국내 최초 개발선진국에 의뢰하던 교정을 국산 기술로 대체, 비용 절감 ▲ 표준연 광도센터 연구팀이 쎄트렉아이 위성탑재체의 분광복사휘도 기준광원을 교정하고 있다. 인공위성은 그동안 관찰대상의 모양과 크기를 판별하는데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최근 인공위성을 활용하여 농작물 수확량을 예측하거나 산..작성일자 2016-09-29 조회수 2603
-
반도체 오염입자 실시간 분석 장비 시장에 선보이다표준연, 성균관대 공동기술 측정장비 기업에 이전 후 2년 만에 대기업에 본격적인 판매 시작 대부분의 반도체, 디스플레이는 공정 이후 불량 검사를 실시한다. 하지만 공정 과정 중에 미리 불량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면 경제성을 훨씬 높일 수 있다. 정부출연 연구소와 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한 ‘공정..작성일자 2016-09-12 조회수 3086
-
박막태양전지 성분 분석 국제표준 확립박막태양전지 물질인 CIGS 박막 조성 분석 국제비교 주관 ▲ KRISS 표면분석 연구팀이 박막조성분석장비인 XPS 를 활용해 CIGS 조성분석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 세계 각국은 차세대 에너지원 확보를 위해 태양전지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대표적인 차세대 박막태양전지 물질인 CIGS(구리, 인..작성일자 2016-08-31 조회수 3007
-
기존의 제작 장애물이었던 ‘빛’이 제작 과정에서 ‘빛’나다포토리소그래피 공정 과정에 ‘빛의 회절 및 간섭’을 이용한 3차원 나노구조체 어레이 제작 기술 개발 ‘빛의 회절과 간섭’.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으로 나노구조체를 만들 때 방해요소로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두 요소다. 국내 연구진이 이 방해요소를 오히려 역이용하는 3차원 나노구조체 제작공..작성일자 2016-08-08 조회수 3679
QUICK MENU
QUICK MENU 원하시는 서비스를 클릭하세요!
등록된 퀵메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