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TOP전체 361건 페이지 16/37 RSS
-
표준연, 2019년 명장 선정- 김현문 , 오연균 책임연구기술원 -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원장 박상열)이 방사선표준센터 김현문(59) 책임연구기술원과 열유체표준센터 오연균(58) 책임연구기술원을 ‘2019 KRISS 명장’으로 선정했다. ▲ (왼쪽부터..작성일자 2019-01-08 조회수 1272
-
자기장, 이제 '각도'로 잰다- 차세대 메모리 실현의 핵심인 자기장 측정 기술 개발 - # 자석뿐만 아니라 전류도 자기장을 만든다는 것은 익숙한 진리이다. 그렇다면 굳이 전류로 자기장을 만들면 무엇이 좋은 걸까? 우리 집 컴퓨터 하드디스크에 전류가 흐르면 저장이 되지만, 자석을 갖다 대면 모든 데이터가 날아가는 것도 좋..작성일자 2018-12-24 조회수 2716
-
소자 내부를 초음파 진단하듯...'광유도력 현미경' 개발반도체 깊은 곳 결함까지 꿰뚫어보는 현미경 개발 (그림)광유도력현미경의 측정원리 모식도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원장 박상열)이 광학적인 방법으로 나노미터(nm) 크기의 소자 내부 깊은 곳까지 측정할 수 있는 고감도 현미경 기술을 개발했다. ..작성일자 2018-12-06 조회수 3540
-
KRISS 박상열 원장 국제도량형위원회(CIPM) 위원 피선- 글로벌 측정과학기술 선도 역할 강화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박상열 원장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박상열 원장이 16일(현지시간), 프랑스에서 열린 제26차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 전 세계 측정표준 최고 자문기구인 국제도량형위원회(CIPM)의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작성일자 2018-11-23 조회수 1509
-
'단위 재정의' 최종 의결... 불변의 단위 시대 열렸다.- 11월 16일, 기본단위 4개의 개정된 정의 최종 의결 - (사진) 제26차 CGPM에서 국제단위계 개정이 결의되었다 11월 16일(금), 국제단위계(SI)의 7개 기본단위 중 질량, 전류, 온도, 물질의 양 총 4개 물리량에 대한 단위가 새롭게 정의되었다..작성일자 2018-11-16 조회수 5756
-
뇌경색의 원인, ‘뇌혈류지도’는 알고 있다- 뇌경색 환자 1,160명의 표준화된 빅데이터 기반으로 지도 개발 - ? # “빅데이터는 알고 있다”라는 말이 있다. 사소한 데이터 한 조각도 100개, 1000개가 쌓이면 특별한 의미와 가치를 지니게 된다는 뜻이다. 미지의 세계인 두뇌의 영역으로 가면 빅데이터는 더욱 진가를 발휘한다..작성일자 2018-10-08 조회수 2419
-
메가옴(MΩ)급 ‘불변의 저항표준’ 실현 눈앞에- 한일 공동연구 결과… 국가 측정 경쟁력 입증 -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원장 박상열)이 메가옴(MΩ)급의 높은 영역에서 표준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불변의 고(高)저항 실현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KRISS 전자기표준센터 채동훈 책임연구원팀은 1 메가옴(MΩ)의 양자 고..작성일자 2018-09-19 조회수 5138
-
나노안전성 국제 워크숍 개최- 더 나은 삶을 위한 나노안전성과 표준화 -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원장 박상열)은 7월 10일(화), 국내외 나노안전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제3회 나노안전성 국제 워크숍’을 연구원 기술지원동에서 개최했다. 올해 3회를 맞이한 워크숍의 주제는 ‘더 나은 삶..작성일자 2018-07-12 조회수 1482
-
'원자 3개 크기’ 뾰족한 현미경 이온원 나왔다- 산화막 역이용한 이온빔 원천기술 개발 - # 현미경의 세계에서 ‘빛’, ‘전자’, ‘이온’과 같은 광원은 현미경 특성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그리고 이 광원을 ‘어떻게’ 쓰는지가 현미경의 성능을 좌우한다. 광원이 최대한 좁게 모아져..작성일자 2018-07-11 조회수 2401
-
불량 유리 잡는 센서 상용화- 대형 유리기판 두께 및 굴절률 측정 센서 개발 - # 국내에서 판매되는 TV 화면이 7년 사이에 평균 10인치나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TV 화면이 커질수록 제조 공정은 수많은 변수를 낳고, 낮은 불량률을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매 공정마다 엄격하고 정교한 검사가 중요해지는 이유다. 한국표준..작성일자 2018-07-11 조회수 2970
QUICK MENU
QUICK MENU 원하시는 서비스를 클릭하세요!
등록된 퀵메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