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연구성과
TOP전체 115건 페이지 2/12 RSS
-
세계 최대 전자기 측정 분야 학술대회, 2030년 한국서 열린다.- 표준연 , 2030 국제 정밀전자기측정 콘퍼런스 (CPEM) 유치 성공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원장 이호성 ) 이 전자기 측정 분야의 세계적 학술대회인 국제 정밀전자기측정 콘퍼런스 (CPEM:Conference on Precision Electromagnetic Measurements) 를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 ..작성일자 2024-07-12 조회수 1729
-
표준연-지·산·학·연 27개 기관, 양자컴퓨팅 소부장 산업 육성 위해 맞손- ‘ 양자컴퓨팅 소부장 스케일업 밸리 협의체 ’ 출범 및 업무협약 체결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원장 이호성 ) 은 3 일 KRISS 대전 본원에서 양자컴퓨팅 소부장 ( 소재 부품 장비 ) 산업 육성을 위한 ‘ 양자컴퓨팅 소부장 스케일업 밸리 협의체 &rs..작성일자 2024-07-03 조회수 1865
-
상온 양자컴퓨터 가능성 열었다… 핵심 기반 기술 확보- 표준연 , 세계 최초 2 차원 상온에서 스커미온 생성 제어 성공 - - 소모 전력 낮추고 양자 효과 극대화해 상온 큐비트 , AI 반도체 개발 단초 제공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원장 이호성 ) 이 세계 최초로 2 차원 상온에서 스커미온을 생성하고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작성일자 2024-06-11 조회수 2356
-
첨단산업 ‘눈’뜨게 할 새로운 반도체 나왔다- 표준연 , 단파장 적외선 (SWIR) 센서에 쓰이는 고품질 화합물 반도체 소재 개발 - - 기존 소재 대비 검출 대역 신뢰도 ↑ 차세대 첨단산업 센서로 즉시 상용화 전망 - # 적외선 센서는 우리 눈으로 볼 수 없는 영역의 빛을 감지해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 이..작성일자 2024-05-30 조회수 2506
-
표준연, 세계 측정의 날 기념행사 개최- ‘ 측정과 함께 여는 지속가능한 미래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원장 이호성 ) 은 20 일 ( 월 ), 세계 측정의 날 (WMD, World Metrology Day) 을 맞아 원내 기념행사를 개최 했다 . ▲ 2024년 세계 측정의 날 포스터 세계 측정의 날은..작성일자 2024-05-20 조회수 2033
-
지구에 없던 새로운 물질상, 왜 생길까? 실험으로 증명했다.- 표준연 , 물질의 결정화 과정 정밀 관측해 ‘ 분자 구조 대칭성 변화 ’ 가 요인임을 규명 - - 결정화 과정 제어해 원하는 물질 만들 수 있어 … 신소재 개발 새 이정표 - # 오는 27 일 우주항공청 개청을 앞두고 신 ( 新 ) 우주 시대를 맞이하기 위한..작성일자 2024-05-16 조회수 2304
-
표준연, 6G 안테나 측정 장비 국산화 성공- 이동형으로 활용성 높이고 왜곡 없는 비금속 센서로 6G 안테나 성능 측정 - - 국내 기업에 기술이전 완료 , 6G 상용화 속도 낸다 - # 2019 년 4 월 ,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로 5G 이동통신 서비스를 야심 차게 시작했다 . 3.5 GHz 대역의 5G 는 상용화되었지..작성일자 2024-04-08 조회수 2869
-
버려지는 미세 진동, 모으고 키워 전기로 쓴다- 표준연 , 좁은 영역에 진동을 가두어 고증폭하는 메타물질 개발 - - 버려지는 진동을 모아 전기로 만드는 ‘ 에너지 하베스팅 ’ 상용화 앞당긴다 - # 에너지 하베스팅은 버려지는 에너지를 다시 ‘ 수확 (harvest)’ 하여 전기로 만드는 친환경 기술이다..작성일자 2024-03-27 조회수 3143
-
표준연, MRI?CT 지방간 진단 ‘기준’ 제시- 체내 지방 측정 정확성 높일 의료영상기기용 표준물질 세계 최초 개발 - - 의료영상기기 진단 신뢰성 향상 , 신약 개발 위한 다기관 임상시험 활용 기대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원장 이호성 ) 이 MRI 와 CT 촬영을 통한 체내 지방 측정의 정확성을 높일 표준물질을 세계..작성일자 2024-03-14 조회수 2675
-
나노물질 인체 독성, ‘인공장기’ 오가노이드로 검증- 간 줄기세포 활용 , 나노물질 독성 정확히 평가할 오가노이드 배양법 최초 개발 - - 나노물질 나노의약품 안전성 평가에서 동물대체시험 도입 가속 전망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원장 이호성 ) 이 나노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독성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오가노..작성일자 2024-02-20 조회수 4362
QUICK MENU
QUICK MENU 원하시는 서비스를 클릭하세요!
등록된 퀵메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