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단위이야기

단위이야기

원자가 내는 빛의 진동수, 시간을 점령하다

  • 작성자최고관리자
  • 작성일자2016-03-02 19:41
  • 분류카드뉴스
  • 조회수576

하루는 태양이 남중하는 시각부터 다음날 남중하는 시각까지의 시간이다. 이러한 하루의 길이를 86 400분의 1로 나눈 게 1 초라면, 1 초는 매일매일 조금씩 다를 수 있다. 지구는 자전하는 동시에 태양을 중심으로 타원 궤도를 그리며 공전하기 때문이다. 지구가 태양에 가까이 있느냐, 혹은 멀리 있느냐에 따라 하루의 길이도 달라진다. / 삽화 : 1956년 국제도량형총회 지구의 공전을 기초로 한 기준 -> 평균태양초 = 평균태양일 / 60×60×24 (지구의 자전속도 불규칙) -> 오랜 관측 자료 필요해 불편 -> 원자초 = 세슘-133의 복사선이 9 192 631 770번 진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 / ‘평균태양일’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됐다. 1년 동안의 하루 길이를 평균으로 계산한 값을 평균태양일로 하고, 이를 86 400으로 나눈 값을 1 초로 하자는 것이다. 이러한 1 초를 ‘평균태양초’라고 부른다. 하지만 지구 자전 속도의 불규칙성이 확인되면서 평균태양초의 지위가 흔들렸다. 1956년 국제도량형총회는 지구의 공전을 기초로 하여 새로운 기준을 마련했다. 그러나 이에 따른 초의 정의 역시 오래가지 못했다. 지구의 공전을 기초로 한 기준은 오랜 시간 관측한 천체 자료를 바탕으로 도출해야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정확한 연구에 소요되는 기간이 너무도 길었기에 실제 사용하면서 불편함이 많았다. 마침 당시 과학자들은 시간을 더욱 쉽고 정확하게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시간 측정의 기준을 천체에서 원자로 삼는 ‘원자시계’가 등장한 것이다. 과학자들은 절대적이고 영원한 기준을 찾기 위해 물질의 구성요소인 원자의 세계로 눈을 돌렸다. 원자시계는 원자의 진동수를 이용한다. 진동수란 1 초에 얼마나 진동하는지를 ‘헤르츠(Hz)’라는 단위로 나타내는 값이다. ‘세슘-133’이라는 원자를 기준으로 하면, 이 원자에서 나오는 복사선이 9 192 631 770번 진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초라고 한다. 이를 ‘원자초’라고 부른다. 현재 시간의 단위로 사용하는 초는 이 원리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초는 세슘-133 원자의 바닥 상태에 있는 두 초미세 준위 간의 전이에 대응하는 복사선의 9 192 631 770주기의 지속시간이다.'

연구원님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