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연구분야로 오페란도측정분석, 광․전자 이미징, 나노바이오센싱, 극한측정기술, 스마트 소재․소자 기술 등 소재융합분야의 융복합 측정분석기술 개발을 위해 학제간 융합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의 측정분석기술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공지능기반 측정평가기술 플랫폼을 개발하여 측정표준의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보도자료
- 1000조 분의 1 몰까지 실시간 측정, 질병 조기진단 가능해진다2020-11-02
- 개별 나노입자 정밀분석으로 나노 안전성 진단한다2020-07-30
- 플렉서블 스마트기기 핵심소자, 가격 낮추고 성능 올린다2020-06-23
첨단오페란도분석팀은 독립적·정(靜)적 소재 물성 평가가 아닌, 구동조건에 따라 반도체 소자의 성능을 결정하는 유기적·동(動)적 소재/소자 물성의 동시간 평가기술을 개발하여 4차 산업혁명 대응 첨단소재의 융복합 측정기술 창출합니다.
- (소재안전성) 태양전지 및 발광소자의 구동에 따른 광전소재의 구동 안정성 평가기술 개발
- (물리화학물성) 정보처리·정보저장·전력제어 소자 용 유연 반도체 소재의 구동 원리 평가기술 개발
- (구조물성) 첨단 반도체 소재의 구조특성 실시간 측정 기술 개발
나노분광이미징팀은 높은 시공간분해능을 갖는 분광이미지 측정기술개발을 통해 첨단 나노복합소재에 대한 광학/전기/화학적 특성을 정밀 분석하여 미래 정보/에너지/바이오 분야에서의 국가 산업경쟁력 제고를 도모합니다.
- 시공간 영역 PiFM 분광현미경 기술개발
- TERS 화학이미징 기술개발
- SSRM/SCM 현미경 개발
EM나노메트롤로지팀은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저차원 나노소재의 인시츄 및 실환경 나노복합물성 측정기술 개발 및 표준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미래혁신산업의 융복합 핵심 측정기술 개발에 기여합니다.
- 나노입자 크기, 나노박막 두께 측정 표준화
- 전자현미경 기반 인시츄 전기-기계 복합물성 측정기술 개발
- 전자현미경 기반 인시츄 AFM 측정기술 개발
- 액상환경을 포함한 실환경 전자현미경 측정기술 개발
표면분석팀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등 첨단산업에 활용되는 표면분석 기술을 개발하고 그에 대한 소급체계 확립, 국제표준 개발 및 인증표준물질 개발을 통해 국가표준을 확립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국가표준을 보급하여 산업현장의 측정표준을 확립하도록 기여함으로써 산업체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초박막 두께측정 및 조성분석 기술개발 및 표준확립
- 표면분석 기술개발 및 표준확립 (CCQM 및 ISO/TC-201 등)
- 표면분석을 위한 전산모사 기술 개발 및 응용
- 표면분석 커뮤니티 활동 (측정클럽, 심포지엄 및 교육 등)
- 인증표준물질 개발 (다층박막, 합금박막, 산화막 등)
극한측정연구팀은 우주, 심해, 지구내부 및 행성탐사와 핵융합 개발 및 국방 등에 필요한 초고온/극저온/초고압/무중력/초미세/준안정 환경을 구현하고 제어하며, 원자 시간 및 공간 분해능으로 극한물성을 측정하는 기술을 연구하여, 인류의 활동영역의 확장을 가능하게 하며, 미래 신산업에 적용될 신물질 개발에 기여합니다.
- 초고온 부양 기술 및 물성 측정기술 개발
- 동적 초고압 물성 측정기술 개발
- 초고속 시간분해 산란 측정기술 개발 (X-선, 레이저, 초음파)
- 준안정 물성 측정기술 개발
진공소재측정팀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에 사용되는 소재의 진공환경 기반 측정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영역으로는 반도체 공정/설비용 원료물질 및 코팅소재의 측정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 증기압 측정기술 연구
- 열안정성 측정기술 연구
- 상전이 측정기술 연구
- 오염원 측정기술 연구
AI메타연구팀은 메타물질기반 신개념 측정 및 응용기술개발과 인공지능 및 신호처리 기술을 활용한 안전측정데이터 분석/진단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AI 및 메타물질 기술 개발을 통해 에너지 하베스팅, 센서 등 다양한 응용분야의 확장을 통해 미래 신산업 성장에 기여합니다.
- 메타물질 기술개발 – 진동/음향/초음파 영역
- 메타물질 기반 신개념 측정기술 개발
- 메타물질 응용기술개발 – 센서시스템, 에너지 하베스팅 등
- 데이터 기반 건전성 평가기술개발
- 인공지능기반 안전측정진단 기술개발
AI메타연구팀은 메타물질기반 신개념 측정 및 응용기술개발과 인공지능 및 신호처리 기술을 활용한 안전측정데이터 분석/진단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AI 및 메타물질 기술 개발을 통해 에너지 하베스팅, 센서 등 다양한 응용분야의 확장을 통해 미래 신산업 성장에 기여합니다.
- 메타물질 기술개발 – 진동/음향/초음파 영역
- 메타물질 기반 신개념 측정기술 개발
- 메타물질 응용기술개발 – 센서시스템, 에너지 하베스팅 등
- 데이터 기반 건전성 평가기술개발
- 인공지능기반 안전측정진단 기술개발
나노바이오센서팀은 질병 조기진단 및 모니터링을 위해 기능성 나노 및 바이오 소재, 바이오센싱 소자 및 표준 측정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초고감도, 고신뢰도의 나노바이오센싱 표준 플랫폼을 개발 및 구축하고 있습니다. 나노바이오센싱 표준 측정기술 및 플랫폼에 기반하여 바이오산업의 빠르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술지원에 기여합니다.
- 나노기술기반 바이오센싱 소재 및 소자 개발
- 질병진단용 바이오마커의 초고감도 센싱 기술 개발
- 나노바이오센서의 신뢰성, 유효성 평가기술 개발
- 나노바이오센싱의 표준 측정기술 및 플랫폼 구축
스마트소자팀은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자가전원과 적외선 센서 기술을 이용한 초소형 스마트 능동소자 핵심기술 개발로 미래 산업에 필요한 소재 및 융복합 측정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열전 기반 저전력 발전/저장 기술
- 다기능 광전 소재/소자 기술
- 자체전원을 이용한 초소형 광전소자 개발
저차원소자물질연구팀은 현 국가 주력산업인 반도체 및 광-전자 소자에 응용할 수 있으며 차세대 핵심산업으로 각광받는 양자정보, 양자센싱과 같은 양자소자에 적용될 수 있는 저차원물질의 융-복합 물성 정밀측정 기술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계산과학을 통해 저차원소자 구성 및 저차원물질 조합의 최적화를 선제적으로 예측하고, 저차원 응용소자를 실험적으로 구현하여 미래 저차원 신물질을 활용한 소재기술 실용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합니다.
- 계산과학을 통한 저차원물질 복합물성 정밀 예측
- 반도체 공정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저차원 응용소자 개발
- 저차원소자 광-전자물성 정밀측정기술 개발
- 표면물성 정밀측정기술 개발을 통한 저차원소자특성 개선
- 다기능 저차원소자물질 합성 연구
인프라소재연구팀은 발전 및 장치 산업 그리고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포함한 국가 주력 산업의 에너지 인프라 소재 성능 및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한 핵심 측정 기술 개발과 측정 표준 확립을 통하여 기계적 물성 및 신뢰성 측정 기반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청정 및 신재생 에너지 인프라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에 기여합니다.
- 재료 측정 표준 확립 및 소급체계 구축
- 에너지 인프라 소재 적합성 평가 기술 개발
- 풍력에너지 시스템 성능 및 신뢰성 평가 기술개발
- 나노 에너지 소재 기계적 특성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