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ISS 소식
TOP싱가포르 NMC 기관장단 KRISS 방문
- 작성자홍보실
- 작성일자2025-03-05 13:43
- 조회수88
▲ KRISS-NMC 대표단 단체사진
지난 2월 18일, 대한민국과 싱가포르 양국의 국가측정표준대표기관 간 기관장급 회의가 개최되었다. 이를 위해 싱가포르 국가표준센터(NMC*)의 기관장 Prof. Gregory Goh를 비롯한 NMC 대표단이 KRISS를 찾았다. NMC는 싱가포르 과학기술청(A*STAR**) 산하 국가측정표준대표기관으로, 국가측정표준의 확립·유지뿐 아니라 산업체, 연구소, 정부기관 등 다양한 고객을 대상으로 측정 및 교정 기술지원과 같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NMC 대표단이 KRISS를 찾은 것은 2011년 이후 14년만이며, 이번 방문에는 타 기관과의 연구 매칭 업무를 담당하는 A*STAR 본부 직원도 함께했다. KRISS와의 연구협력 접점을 파악하고자 하는 싱가포르 대표단의 의지가 엿보이는 대목이다.
* NMC: National Metrology Centre
** A*SATR: The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NMC 기관장인 Prof. Gregory Goh와 국제협력부서장인 Dr. Chua Sze Wey는 기관장단 회의 예정일보다 하루 앞서 2월 17일 KRISS에 도착해 APMP* 사무국팀과 회의를 가졌다. 지난 APMP 2024 총회에서 박현민 現 APMP 의장의 후임자로 Prof. Gregory Goh가 선출되었기 때문이다. Prof. Gregory Goh는 KRISS가 창립 50주년과 미터협약 150주년을 동시에 기념해 개최하는 2025년도 APMP 총회에 큰 기대감을 표했으며, APMP 커뮤니티 내에서의 협력 확대를 요청했다. 앞으로 KRISS와 NMC가 종전의 기관 단위 협력을 넘어 APMP를 비롯한 국제기구 활동까지 협력의 범위를 넓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APMP(Asia Pacific Metrology Programme): 아시아·태평양측정표준협력기구
▲ 협력 논의 중인 양 기관 대표단
KRISS-NMC 기관장단 회의는 양 기관 국제협력부서장의 기관 개요와 연구개발 현황에 대한 발표로 시작되었다. KRISS에서는 최근 주요 R&D 성과와 KRISS 연구자들의 국제기구 활동, NMC와의 오랜 파트너십 등을 소개했고, NMC에서는 상위기관인 A*STAR의 구조와 싱가포르 국가품질인프라, NMC의 역사와 역할 등을 공유했다. 특히 NMC는 미래 측정 역량 개발을 위해 전략적 중점 분야로 선정한 양자기술, 첨단제조업, 지속가능성을 위한 측정표준에 큰 관심을 보였다. 이에 이호성 원장은 KRISS가 참여하고 있는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프로젝트와 광시계를 이용한 협정세계시(UTC) 생성을 언급하며 시간표준에 대한 KRISS의 기여를 설명했다. 이어서 강상우 전략기술연구소장이 반도체 산업계와의 협업 관계 구축에 대해, 그리고 강노원 성과정책본부장이 산업현장과 국가표준기관을 이어주는 측정클럽의 역할을 소개했다.
▲ 랩투어 진행 모습
오후에 진행된 랩투어 세션에서 NMC 대표단은 총 6개 그룹 10개 연구실을 방문했다. NMC의 관심 분야와 직결된 분야이니만큼, 대표단은 KRISS의 R&D 현황, 연구성과의 활용도 및 기대효과 등에 대한 연구자들의 설명을 진지하게 경청했다. 오랜 시간 계속된 일정에도 지친 기색 없이 적극적으로 질의하는 대표단의 모습에서 연구협력에 대한 열정을 느낄 수 있었다.
KRISS와 NMC는 2012년 기관 간 업무협약(MoU)을 한 차례 체결한 바 있으며, 인력교류와 연구장비 수출 등 다양한 형태로 교류를 이어왔다. 아울러 양 기관은 현재 시간주파수 분야 공동연구협약(CRA*) 갱신을 앞두고 있다. 해당 CRA는 한국-싱가포르-일본 3개국 4개 기관의 광시계 주파수 실시간 국제비교 공동연구를 골자로 하며, 이를 통해 대한민국 표준시의 정확도와 신뢰도 향상은 물론 2030년 재정의될 예정인 시간 단위 ‘초’의 활용 극대화를 목표로 한다. 앞으로 양 기관이 긴밀한 협력을 통해 상호 과학기술 역량을 강화하고 글로벌 측정표준 커뮤니티에 기여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 CRA: Collaborative Research Agreement
QUICK MENU 원하시는 서비스를 클릭하세요!
등록된 퀵메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