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분석표준그룹 소개
TOP무기분석표준그룹은 무기원소 및 무기화합물들의 물질량(단위:mol) 및 함량 분석에서 SI 기본단위 정의로 측정소급성 연결을 비롯해 식품, 환경, 산업소재 등에 활용되는 측정표준을 확립하고 유지합니다. 이를 위해 최상위측정법을 개발하고, 국가표준기관 간 국제비교를 통해 국제적 동등성을 확보하며 다양한 인증표준물질의 개발과 보급을 통해 무기분석분야 대한민국 분석능력의 신뢰성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분야
-
1 식품 중 유해원소 및 영양원소 분석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
2 원자력발전소 화학분석 신뢰성 유지를 위한 인증표준물질 개발
-
3 미세먼지 중 중금속 등 환경분야 무기분석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
4 산업소재 주성분 및 도핑원소 등 성분 분석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
5 원소·이온·무기화합물에 대한 SI 기본단위 몰(mol) 구현
-
6 SI 기본단위로의 측정소급성 연결을 위한 원소·이온· 무기화합물 순도분석법 및 최상위 표준물질 개발 및 유지
주요성과
- 물질량의 단위 몰(mol) 정의의 실제적 구현에 필요한 핵심 기술인 전하량법 시스템 구축
- 무기원소 불순물 70 종 이상 분석 절차 확립 및 탄소, 황, 질소, 산소 불순물 분석 시스템 구축
- 구리 동위원소비 델타값 정밀 측정 및 기기질량편향 보정법 개발을 통한 구리 동위원소비 측정 표준 확립 기반 기술 확보
- 단일원소 및 음이온 표준용액 8종 이상의 재생산과 보급을 통해 국내 무기분석분야 측정결과의 국제단위계 측정 소급성 연결에 기여
- 식품 매트릭스 CRM 개발 및 국내 숙련도 시험 활용을 통해 국내 식품분석의 신뢰성 제고에 기여
- 원자로 냉각재 계통수, 발전소 증기발생기 취출수 원소 분석용 및 음이온 분석용 CRM 3종 개발·보급
- CCQM-K145 알루미나 중 원소분석 등 국제비교 참여를 위한 연구개발을 통해 대한민국 관련 분야 측정능력의 국제적 동등성 확보
그룹 내 팀 소개

무기분석표준기반팀
무기분석표준기반팀은 원소·이온·무기화합물을 대상으로 전기화학, 동위원소비 측정, 순도분석법 등 핵심 측정기술 개발을 통해 화학분야 물질량 SI 기본단위인 몰을 구현합니다. 또한 측정소급성 연결을 위한 순물질, 단일원소 표준용액, 동위원소비 표준용액 등 인증표준물질 개발 및 보급을 통해 대한민국 무기분석능력의 핵심인프라를 구축하고 유지해가고 있습니다.
- 원소·이온·무기화합물에 대한 SI 기본단위 몰(mole) 구현
- SI 기본단위로의 측정소급성 연결을 위한 원소·이온·무기화합물 순도분석법 및 최상위 표준물질 개발 및 유지
- 전하량적정법(Coulometry) 등 전기화학분야 최상위측정법 연구
- 무기원소 동위원소비 측정법 및 표준물질 개발
- 중성자방사화분석법(INAA), X-선 기반 화학종분리분석법 등 고에너지 분광법 기반 측정기술 개발

무기분석표준물질팀
무기분석표준물질팀은 식품, 환경, 임상, 산업소재 등 다양한 시료 중 원소·이온·무기화합물에 대한 측정기술 연구를 통해 측정표준을 확립하고, 인증표준물질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습니다. 유해·영양원소 분석용 식품, 유해원소 분석용 미세먼지 인증표준물질 개발 등 국민의 삶과 밀접한 분야의 측정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RoHS 대응 플라스틱, 고순도 알루미나 등 산업소재 관련 인증표준물질의 개발을 통해 국가 산업경쟁력을 제고하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동위원소희석 유도결합플라즈마질량분석법(ID ICP-MS) 등 무기원소 최상위측정법 연구
- 식품 중 유해원소 및 영양원소 분석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 원자력발전소 화학분석 신뢰성 유지를 위한 인증표준물질 개발
- 미세먼지 중 중금속 등 환경분야 무기분석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 산업소재 주성분 및 도핑원소 등 성분 분석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다른 그룹 소개 보기
QUICK MENU 원하시는 서비스를 클릭하세요!
등록된 퀵메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