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성원연락처 보러가기

역학표준그룹은 질량 단위(kg), 힘 단위(N), 압력 단위(Pa) 및 부피/밀도/중력 분야의 국가표준을 확립하고 관련 측정표준 및 측정기술을 개발하여 보급하는 연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2019년 국제단위계 재정의 이후 물리상수 기반 신 역학표준체계 구축을 통해 반도체, 바이오산업과 같은 국가 미래성장 산업에 필요한 측정 기반을 제공한다는 비전을 갖고, 키블저울로 대표되는 플랑크 상수 기반 질량 및 미소 힘 표준기술 개발, 볼츠만 상수 기반 진공압력 표준기술 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극한측정기술로서 초전도중력계 개발 연구와 산업응용기술로서 로봇에 적용할 수 있는 촉각 인터페이스 개발 연구를 수행 중입니다.
- 플랑크상수 기반 질량 실현 및 보급 기술 개발
- 플랑크상수 기반 미소역학 표준 실현 기술 개발
- 볼츠만상수 기반 진공압력 표준 실현 기술 개발
- 초전도 중력계 기술 개발
- 질량, 힘, 압력, 진공, 부피, 밀도, 중력 표준 유지향상 및 교정/시험 서비스



플랑크상수질량팀은 질량 단위를 구현하고 보급하는 기술을 개발합니다. 특히 플랑크 상수를 기반으로 하여 킬로그램을 구현하기 위하여 키블저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전기, 기계, 광학 등 킬로그램 구현에 필요한 정밀 측정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국가 킬로그램 표준을 구현하고 보급합니다.
- 키블저울을 이용한 킬로그램 구현 기술 개발
- 질량 표준기 물성 및 안정성 평가 기술 개발
- 질량 표준 보급 기술 개발
플랑크상수힘팀은 질량 재정의 이후 힘 표준은 원기기반의 질량과 중력가속도의 곱이 아니라 전자기력으로 직접 구현이 가능해졌습니다. 전자기력으로 아주 작은 힘까지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반도체, 제약, 나노, 환경산업 등에서 필요로 하는 미세 힘(질량)의 측정정밀도 향상에 대응하고자 합니다. 또한, 산업응용기술로서 로봇, 가상현실에서 요구하는 촉각센서 기술 개발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고자 합니다.
- 마이크로 키블저울 개발 (0.5 μN ~ 5 mN)
- 광 압력을 이용한 미세힘 발생 기술 개발
- 초전도 양자힘 표준기술 개발
- 촉각센서 개발
- 힘/토크 표준 보급 기술 개발
진공압력측정표준팀은 대기압부터 10-6 Pa의 진공 영역에서 진공표준과 리크표준에 대한 연구와 관련 교정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진공센서를 비롯한 진공기기, 진공챔버 평가 등의 응용기술에 관한 연구도 수행 중입니다.
- 볼츠만상수 기반 진공압력 표준 실현 기술 개발
- 진공 센서 및 챔버 등의 진공기기 평가 기술
- 진공/리크 표준 보급 기술 개발
초전도중력팀은 세계최고 수준의 고감도 중력 측정을 위한 핵심 기반기술을 개발하고, 절대/상대 중력표준과 융합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가 지오이드 네트워크 구축에 필요한 국제적 동등성이 확보된 참조표준데이터 생산 연구와 산업체 신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동적역학 표준개발을 포함한 압력 표준업무도 역학표준그룹 내에서 협력연구로 수행 중입니다.
- 초전도 중력계 기술 개발
- 절대/상대 중력표준 기술 개발
- 참조표준 중력가속도 데이터센터
- 동적역학 및 압력표준 기술 개발